「기능성 원료 등의 재평가 실시에 관한 규정」 제정고시 건강기능식품 재평가가 뜨거운 주제입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 개발을 위해 어떤형태로 재평가가 이루어질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1. 제정 이유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이 개정(총리령 제1279호, ‘16.5.19)됨에 따라 법령에서..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2.30
식품 표시기준 개정-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146호 식품등의 표시기준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영업자의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식품 산업계의 발전을 도모하기위해 개정하고자 함. 2. 주요내용 가. 제조연월일 표시대상 확대〔안 Ⅲ-1-나-16)-나)-(4)〕 1) 침출차는 최종제품의 수분함량이 낮아 유통중 품질변화가 적고, 발효과정을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2.30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 개정고시_식약처 고시 제 2016-143호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143호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일부 개정고시 1. 개정 이유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범위를 확대, 제품의 형태 중 필름을 추가하고,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의 고시 전환 기간을 연장하여 연구·개발하는 영업자를 고려하며, 영양소 중 단백질의..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2.30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 일부 개정고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127호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 일부 개정고시 1. 개정이유 GMP 작업장 중 공조시설이 반드시 필요한 작업장을 한정하여 영업자 부담을 완화하고, GMP 지도관의 자격 기준과 임무 및 교육 과정 신설 등 GMP 지도관 제도 정비, GMP 의무화 도입으로 예상되..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1.28
수입식품 등 수입판매업 영업등록 관련 안내 □ 수입식품등 수입판매업의 영업등록 (수수료 28,000원) ❍ (영업등록 신청 전 확인사항) - 위생교육 이수 수입식품등 수입‧ 판매업등 신규 위생교육은 “한국식품산업협회”www.kfia.or.kr (02-3470-8150)에서 수료 가능 (신규교육은 4시간, 보수교육 3시간 인터넷교육 또는 집합교육 가능..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1.28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전략 세미나 자료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전략 세미나 자료입니다. 출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입니다. ○ 일시 : '16.11.3.(목) 13:00~17:00 ○ 장소 :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E5, E6홀 ---발표내용--- ○ 건강기능식품의 발전방향(산업계·학계·소비자)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인정절차 및 현황 ○ 글..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1.28
2015년 건강기능식품 시장 ‘15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1.8조원, 지난 해 대비 12% 증가 □ 2015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은 1조 8,230억원으로 ’14년(1조 6,310억원)에 비해 11.8% 증가하였으며, 건강기능식품 생산은 ’11년 이후 연평균 성장률 7.4%를 기록하며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 생산실적(억원): 13,682(’11)→..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9.23
건강기능식품 품목제조신고 해설서(2016년 4월) 건강기능식품 품목제조신고 해설서입니다. 해설서 내용중 작성방법 및 유통기한 설정사유서 제출방법이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품목제조신고해설서_최종본파일.pdf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9.19
「식품, 식품첨가물, 축산물 및 건강기능식품의 유통기한 설정기준」일부 개정고시 「식품_식품첨가물_축산물_및_건강기능식품의_유통기한_설정_기준」일부 개정고시안식약처 고시 제2016-85호, 16.8.23.hwp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85호 「식품위생법 시행규칙」 제45조제1항제3호, 같은 법 시행규칙 제12조제1항제4호, 「축산물 위생관리법 시행규칙」 제3..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9.05
기준 및 규격 : 라피노스, 분말한천, 크레아틴, 유단백가수분해물, 상황버섯추출물, 토마토추출물, 곤약감자추출물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63호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일부 개정고시 1. 개정 이유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의 기능성 원료 확대 및 추가되는 기능성 원료의 시험법을 신설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건전한 유통 과 산업활성화에 기여하고, 시험법을 효율적으로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