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신소재식품과) 4분기 새로운 식품원료 '찾아가는 기술상담' 신청 안내 '18년 4분기 새로운 식품원료 '찾아가는 기술상담' 신청 알림 o 목적 : 원료 개발단계부터 찾아가는 기술상담 실시로 새로운(한시적) 식품원료 인정 활성화 * 한시적 식품원료 인정 제도 : 국내에서 식품으로 섭취경험이 없는 새로운 식품원료에 대해 안전성 등을 평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8.10.04
건강기능식품 한글표시-10포인트 이하 가능 1. 개정 이유건강기능식품은 제품 크기가 작아 표시 면적이 적은 경우가 많고, 병이나 플라스틱 등 제품의 특성상 제품설명서를 제작하여 동봉하는 것이 어려운 제품이 많아 현행 기준으로 활자를 10포인트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건강기능식품이 용기포장이 작은 경우 활..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8.06.20
식품 표시기준 개정고시 안내_제품명, 인삼사용부위, 알레르기 잣 추가 등 식품등의 표시기준 일부개정고시1. 개정이유 식품 알레르기 표시대상을 확대 및 취급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식품첨가물에 대해 소비자를 보호하는 취급상의 주의문구를 제품에 표시하여 소비자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고 의미가 명확하지 않은 문구를 개정하여 표시기준의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8.05.17
건강기능식품 고시 개정안내_활자, 무글루텐 1. 개정 이유건강기능식품은 제품 크기가 작아 표시 면적이 적은 경우가 많고, 병이나 플라스틱 등 제품의 특성상 제품설명서를 제작하여 동봉하는 것이 어려운 제품이 많아 현행 기준으로 활자를 10포인트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건강기능식품이 용기포장이 작은 경우 활..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8.05.17
식품 신소재 등록 한시적 기준 규격 상담안내_식약처 '18년 1분기 새로운 식품원료 '찾아가는 기술상담' 신청 알림 o 목적 : 원료 개발단계부터 찾아가는 기술상담 실시로 새로운(한시적) 식품원료 인정 활성화 * 한시적 식품원료 인정 제도 : 국내에서 식품으로 섭취경험이 없는 새로운 식품원료에 대해 안전성 등을 평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8.01.31
식품의 기준 규격 개정고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7-57호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1. 개정 이유국내 식용근거가 확인된 신규 식품원료를 식품에 사용할 수 있는 원료 및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품원료 목록에 추가하고, 식품원료 목록에 등재되어 있으나 영문명 또는 학명이 명시되어 있지 않은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7.08.22
「기능성 원료 등의 재평가 실시에 관한 규정」 제정고시 건강기능식품 재평가가 뜨거운 주제입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 개발을 위해 어떤형태로 재평가가 이루어질지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1. 제정 이유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이 개정(총리령 제1279호, ‘16.5.19)됨에 따라 법령에서..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2.30
식품 표시기준 개정-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146호 식품등의 표시기준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영업자의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하여 식품 산업계의 발전을 도모하기위해 개정하고자 함. 2. 주요내용 가. 제조연월일 표시대상 확대〔안 Ⅲ-1-나-16)-나)-(4)〕 1) 침출차는 최종제품의 수분함량이 낮아 유통중 품질변화가 적고, 발효과정을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2.30
건강기능식품 기준 및 규격 개정고시_식약처 고시 제 2016-143호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143호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일부 개정고시 1. 개정 이유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범위를 확대, 제품의 형태 중 필름을 추가하고,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의 고시 전환 기간을 연장하여 연구·개발하는 영업자를 고려하며, 영양소 중 단백질의..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2.30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 일부 개정고시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127호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 일부 개정고시 1. 개정이유 GMP 작업장 중 공조시설이 반드시 필요한 작업장을 한정하여 영업자 부담을 완화하고, GMP 지도관의 자격 기준과 임무 및 교육 과정 신설 등 GMP 지도관 제도 정비, GMP 의무화 도입으로 예상되..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