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기능성 원료 인정 심사 수수료 최대 2.6배 인상 방침 심사 수수료 인상안[신규]전자민원 171만원 → 450만원방문ㆍ우편민원 190만원 → 500만원[변경]전자민원 72만원 → 180만원방문ㆍ우편민원 80만원 → 200만원[인상 이유]기능성 원료 인정 심사 업무 10년 전 대비 약 2배 증가심사원 확충 등 심사업무 신속 처리 위해식약처, 건강기능식품법률 시행규칙 개정안 5월 30일 입법예고 분야별 정보자료/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가이드라인 2025.07.02
2020년 건강기능식품 재평가 실시 계획 2020건강기능식품 재평가 대상 원료입니다. ❍ 목적 이미 인정된 기능성 원료 등에 대하여 최신의 과학 수준 에서 안전성 및 기능성 재평가 ❍ 법적근거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 조의 같은 법 시행규칙 제 조의 기능성 원료 등의 재평가 실시에 관한 규정 식약처 고시 제 호 ❍ 대상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20.05.12
2020년 건강기능식품 행정예고사항(1월 31일) 건강기능식품 행정예고 사항입니다. 지표성분 등 함량범위가 삭제될 항목과 프로폴리스의 제형 확대등 참고할 사항이 있습니다. 2. 주요 내용 가.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규정 명확화(안 제 1., 1. 1), 2., 2. 3), 3., 3. 1), 4.) 1)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총칙에 건강기능식품..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20.03.03
2020년 건강기능식품 재평가 항목 2020년 건강기능식품 재평가 항목입니다. * 고시형 원료(8종) : 홍삼, 인삼, 클로렐라,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알로에겔, 엠에스엠, 밀크씨슬추출물, 마리골드꽃추출물 * 개별인정형 원료(4종): APIC 대두배아열수추출물 등 복합물, 리프리놀-초록입 홍합추출물오일, 피브로인추출물 BF-7, 루테..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20.03.03
건강기능식품_철 용기포장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9-149호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14조 및 제15조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을 다음과 같이 개정 고시합니다. 2019년 12월 3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장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개정고시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일부를 다음과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20.02.19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일부 개정령(안) 입법예고 안내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 입법예고 안내입니다. 특히 중요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정부가 시행하려는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소분에 대한 내용이오니 영업자분들은 꼭 확인 바랍니다. 가. 건강기능식품 업소 출입·검사 규정 개선(안 제22조) 1) 건강기능식품 영..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9.07.08
갱년기 여성건강에 도움 식약처에서 발표한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갱년기 여성건강에 도움" 가이드라인입니다. 개별인정 신정치 바이오마커 선정에 대하여 도움이 됩니다. 건강기능식품갱년기 여성건강에 도움.pdf 분야별 정보자료/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가이드라인 2019.01.21
식품 표시기준-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8-108호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표시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식약처에서 발췌한 식품표시기준 수정 최종내용입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8-108호식품등의 표시기준 전부개정고시1. 개정이유 「식품 등의 표시광고에 관한 법률..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9.01.09
건강기능식품 맞춤형 기술상담_식약처 2018년도 식약처 영양기능연구팀 건강기능식품 맞춤형 기술상담 내용입니다. 건강기능식품 개발업체분들께서는 아래 내용참고하세요. ===================================================================================== 가. 목적 : 국내에서 연구개발되는 기능성 소재에 대한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제품명 2018.01.31
수입식품안전관리 : 식약처, 수입식품 사전 안전관리 강화로 위해식품 현지 차단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2017년 위생관리 불량한 해외제조업소 수입중단 등 조치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류영진)는 우리나라로 식품을 수출하는 수출국 현지 해외제조업소 406곳에 대해 2017년 현지실사를 실시한 결과, 위생관리가 불량한 55곳을 적발하여 수입중단 등의 조치를 하였.. 카테고리 없음 2018.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