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첨가물 사용기준 개정내용 마. 사용기준 개정 1) 식품첨가물의 사용기준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체계 개선 및 국제조화를 통한 사용기준 개선 필요 2) 품목별 사용기준을 표 형태로 개선하여 모든 품목의 기준을 명시하고, 품목별 주용도를 추가하여 사용기준 체계 개선(II. 5. 가) 3) 조제유류 등 영·유아식에 사용.. 카테고리 없음 2016.05.30
수입신고 사진 제출 의무화 계획 수입신고 사진 제출 의무화 계획 □ 검토 배경 ○ 수입신고 시 현물․표시사항 등의 사진 제출 의무화를 통해 영업자 성실신고 유도 - 신고한 제품과 일치여부를 서류 및 현장확인 등을 통해 허위신고 또는 불성실 신고로 확인 시 해당 영업자 불이익 조치 □ 사진 제출 방안 ○ 제출대..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5.12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규칙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규칙[시행 2016.2.4.] [총리령 제1253호, 2016.2.4., 제정] 식품의약품안전처(수입식품정책과), 043-719-2181 제1조(목적) 이 규칙은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및 같은 법 시행령에서 위임된 사항과 그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해외제조..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4.18
화장품의 색소 종류와 기준 및 시험방법 일부개정고시 화장품의 색소 종류와 기준 및 시험방법 일부개정고시 1. 개정 이유 영유아용 제품류는 제품 사용 시 ‘손빨기 등’을 통한 복용우려가 많으므로 화장품에 사용하는 타르색소 2종(적색 2호, 적색 102호)에 대해 영유아용 제품류에 사용 금지토록 하여 타르색소 안전관리를 강화하려는 것임.. 분야별 정보자료/화장품·기능성화장품 2016.03.10
「식품의 기준 및 규격」일부개정고시_곤충 식품등의 한시적 기준 및 규격 인정 기준」에 따라 인정된 갈색거저리유충과 쌍별귀뚜라미를 식품원료 목록에 추가하여 인정받은 자 외에도 모든 영업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확대 =========================================================================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6-18호 「식품의 기준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3.10
해외제조업소 사전등록 절차_수입시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이하 ‘법’) 시행에 따라 해외제조업소 등록제가 도입됩니다. 1. 해외제조업소 사전등록 절차 ❍ 우리나라에 수출하려는 해외제조업소는 수입신고 7일전까지 해당업소의 정보가 등록 되어야 합니다. 해외제조업소 등록정보 업소의 명칭, 소재지, 대표..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2.16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시행관련 알림 「수입식품안전관리 특별법」 (이하 ‘법’) 시행에 따라 영업이 통합·신설됩니다. 1. 기존 수입 ‧판매업 통합 및 업무 이관 ❍ 당초 지자체(시·군·구)에서 영업신고를 받았던 ‘식품등 수입·판매업’, ‘건강기능식품수입업’과 지방식약청에서 영업신고를 받았던 ‘축산물..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2.16
식품표시기준 행정예고안 1. 공고번호 : 식품의약품안전처 2016-19호(2016.1.14.) 2. 주요내용 가. 용어명칭변경 : 1회제공량(삭제), 1회제공기준량(삭제), 영양성분 기준치 개정 나. 영양성분 표시 순서 변경: 기존 에너지 급원에서 질환예방관련 영양성분 순으로 변경 다. 영양성분 표시단위 및 표시방법 개정 : 1회제공량..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6.01.30
식용곤충, 모든 영업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일반 식품원료로 확대! 한시적 기준 규격으로 승인받은 갈색거저리유충과 쌍별귀뚜라미에 대하여 일반식품원료로 전환예정이라는 소식입니다. 아래 식약처 발표내용 참고하세요. ================================================================================================= □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한시적 식품원료.. 카테고리 없음 2016.01.30
알레르기성 비염 ※ 알레르기성 비염이란? 꽃가루 등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는 여러 원인으로 인해 코 점막이 자극을 받아 생기는 질환으로 지속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감기 증상과 비슷하나 감기와 달리 발열증상이 없고 지속기간이 길다.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카테고리 없음 2015.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