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에 사용가능한 원료 & 식품에 사용불가 원료 식품에 사용가능한 원료, 제한적 사용원료 및 식품에 사용불가능한 원료의 목록입니다. 2013년 4월 현재의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대부분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수입시 천연물 원료의 경우 어떤 원료가 국내에 등록되어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어려워 수입시 반품 또는 폐기되고 있는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3.04.09
일본식품 관련 수입중단 내용 일본식품관련하여 수입 중단 조치 내용입니다. 일본에서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수입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현재까지 일본 원전 사고로 잠정 수입이 중단된 농산물은 후쿠시마, 도치기, 이바라키, 지바, 가나가..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3.01.11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수입시 우피(소)유래 젤라틴 사용에 관한건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수입시 우피(소)유래 젤라틴 사용에 관한건입니다. 기존에는 BSE와 관련하여 35개국에서 생산된 우피유래 젤라틴의 경우 어떠한 경우라도 수입이 불가능하였지만...현재는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수정 고시되어 진행합니다. 수입시 참고하세요.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3.01.02
식품첨가물의 분류 식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실경우 식품첨가물을 사용한 제품이 들어옵니다. 아래와 같이 식품첨가물을 분류한 자료를 확인하세요. ================================================================================================ • 산미료: 식품의 산도를 높이는데 사용되거나 신맛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식..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2.12.28
식품수입 검사절차 식품수입시 검사절차에 대한 내용입니다. 매번 질문을 하시는 사항이오니 잘 읽어보시고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부적합 식품의 재수입되는 경우 등은 5회까지 정밀검사를 실시하오니 꼭 확인하세요. ================================================================================================ 1. 서류검..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2.10.12
국외 검사기관 현황 식약청에서 인정하는 국외 검사기관 현황입니다. 첨부자료 확인하세요. 국외검사기관 현황-100624(1).pdf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2.03.29
분리배출 표시 새로이 바뀐 분리배출 표시 설명자료 및 도안 작성 방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건강기능식품이나 화장품, 식품 등 수입시 포장용기에 대한여 분리배출 표시를 하여야 합니다.첨부자료 확인하시고 진행하세요. 2010_분리배출마크.repair (2).zip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1.06.11
허위표시 과대광고 및 과대포장의 범위 식품위생법에서 정하는 허위 과대광고 및 과대포장의 범위입니다. 건강기능식품은 표시광고에 대하여 사전검사를 받게 되어있지만 식품의 경우(수입시 또는 국내 제품출시의 경우)은 그렇지 않아 어느정도까지 광고를 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이 애매할 경우가 있습니다. 아래 내용 참고하세요.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1.04.20
2010년 건강기능식품 생산액 - 홍삼제품, 간건강 관련 제품 인기 - 지난해 건강기능식품 생산액이 2004년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1조원 시장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10년도 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생산액이 10,671억원으로 1조원 시장에 진입했고 전년대비 11% 증가를 보였다고 밝혔다.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1.04.18
건강기능식품 수입절차 #1 해외에서 건강기능식품을 수입하기 위하여서는 미리 준비하여야 할 내용이 있습니다. 제일 첫번째는 수입업준비 및 수입업 교육 진행입니다. 1. 수입업을 받기 위하여서는 수입업교육(8시간)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수입업 교육은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사이트 www.hfood.or.kr에 들어가셔서 교육신청을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09.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