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의 제형관련 : 캅셀 & 정제 식품의 경우 캅셀 또는 정제 형태로 제조가 불가능합니다. 식품의 수입시 또는 제조시 아래 규정을 참고하세요. ========================================================================= 12) 캡슐 또는 정제 형태로 제조할 수 없다. 다만, 과자류, 초콜릿류, 식염, 장류, 복합조미식품, 당류가공품은 정제형..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3.01.10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기능성원료를 사용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제조할 때에는『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공통기준 및 규격, 개별기준 및 규격 등) 에 따라야 합니다. [공통기준]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I.2. 공통제조기준 - 기능성 원료의 섭취를 주된 목적으로, 정제ㆍ캡슐ㆍ환ㆍ과립ㆍ액상ㆍ..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3.01.03
BSE 발생국가 추가 : 브라질 농림수산식품부로 부터 브라질내 BSE 발생 확인에 따라 2012.12.10일자로 소해면뇌상증(광우병,BSE)발생국가로 추가 지정되었기에 알려드리오니 브라질산 관련 품목의 수신고 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관련국 36개국 그리스, 네델란드, 덴마크, 독일, 룩셈부르크, 벨기에, 스페인, 아일랜드, 영..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3.01.02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수입시 우피(소)유래 젤라틴 사용에 관한건 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수입시 우피(소)유래 젤라틴 사용에 관한건입니다. 기존에는 BSE와 관련하여 35개국에서 생산된 우피유래 젤라틴의 경우 어떠한 경우라도 수입이 불가능하였지만...현재는 아래와 같은 내용으로 수정 고시되어 진행합니다. 수입시 참고하세요.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3.01.02
식품중 향료(합성착향료) 관련 사용여부 검토 식약청 질의사례중 합성착향료관련건 입니다. 합성착향료의 사용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십시오. =============================================================================== Q : 합성착향료, Vanillyl alcohol methyl ether는 일본 후생노동성의 식품첨가물 리스트 중 지정첨가물 리스트에 등재되..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2.12.28
장용성 제품의 표시 및 기준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또는 수입시 장용성제품의 한글표시사항 및 기준입니다. ================================================================================================ ○ 장용성 제품의 표시는 내용량, 섭취량 및 섭취방법에 아래의 예시와 같이 표시가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예시 1) 내용량 : ..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2.12.28
식품첨가물의 분류 식품을 제조하거나 수입하실경우 식품첨가물을 사용한 제품이 들어옵니다. 아래와 같이 식품첨가물을 분류한 자료를 확인하세요. ================================================================================================ • 산미료: 식품의 산도를 높이는데 사용되거나 신맛을 주기 위해 사용되는 식..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2.12.28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행정예고 아래와 같이 개별인정과 관련하여 행정예고가 있습니다. 향후 적용될 예정이므로 신규로 제품을 개발하는 경우에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공고 제2012-276호 2. 주요 내용 가. 일반식품형태(축산식품 포함) 건강기능식품의 인정절차 등 투명성 확보를 위한 보완(안 제3조,..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2.12.26
건강기능식품 안전성 자료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 원료를 신청하기 위하여서는 제일 먼저 안전성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 져야 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십시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건강기능식품이 소비자에게 판매되기 전에 과학적으로 안전성을 검토합니다. 안전성 평가는 제안된 방법대로 섭취하였을 때(영.. 분야별 정보자료/식품·건강기능식품 2012.12.06
화장품 관련 표시/광고 실증에 관한 고시 화장품 표시·광고 실증에 관한 규정 제정고시 1. 제정 이유 「화장품법」전부개정(법률 제11014호, 2011. 8. 4.)에 따라 실시되는 화장품 표시·광고 실증제도와 관련하여 실증자료 요건 등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표시․광고 실증을 적정하게 수행하고 허위․과장광고로부.. 분야별 정보자료/화장품·기능성화장품 2012.11.28